마스다 미츠호로가 쓴 "성공을 부르는 청소의법칙" 에서 한 단원을 소개한다. 다름아닌 "깨진 창문이론"이다. 1969년 미국 스텐포드 대학의 심리학 교수인 필립 진팰드는 "깨진 창문 이론" 이라는 재미난 실험을 했다. 그는 우선 비교적 치안시설이 잘된 지역의 깨끗한 거리를 실험 장소로 선택했다.그런 다음 두 대의 자동차를 준비하여 한대는 엔진룸이 보이도록 "보닛을 열어둔 상태"로 다른한대는 "보닛을 열어두고 창문이 깨진상태"로 둔 뒤 일주일 동안 지켜 보았다. 그러자 두 자동차서 확연한 차이점이 발견 되었다. 보닛만을 열어둔 상태의 자동차에서는 1주일 동안 아무런 현상도 일어나지 않았다. 그러나 창문이 깨진 자동차는 불과 10분만에 배터리가 없어지고 10분이 지난후에는 타이어가 모두 없어져 버렸다. 또한 얼마 지나지 않아 스프레이로 여기 저기 낙서가 되어 있고 심지어 파손까지 되어 있었다. 그리고 1주일 후에는 폐차를 시킬 정도로 망가져버렸다는 것이다. 똑같이 자동차 보닛이 열려 있는 상황에 단순히 창문이 깨져 있는 상태가 추가된 것만으로도 약탈이나 파손의 가능성이 매우 높아진다는 것이다. 게다가 약탈이나 파손행위는 단기간에 점차적으로 확대 해 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실험은 비교적 치안 시설이 잘 되어 있는 지역의 깨끗한 장소에서 이루어 졌다는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할 일이다. 차안이나 환경이 좋은 지역에서도 자동차의 창문이 깨진 상태로 방치해 두면 무질서와 무관심을 증폭시켜 선량한 사람들 마음까지도 영향을 미친다. 마음과 자장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마이너스를 증폭시켜 마이너스 파장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어떤 심리학자의 연구에 의하면 사무실이나 방이 어지럽거나 더러운 경우, 그곳에서 생활하는 사람은평상시 보다 심장박동이 증가되고 혈압이 상승되며 목이나 어깨 결림과 초조감등을 초래 한다고 한다. 이하 생략
무엇인지 모르게 불안과 초조가 오고 갈망이 오면 지체없이 일어나 몸부터 깨끗이 하고 주변을 청소하다 보면 이런 감정이 없어진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 다만 실행을 하지 않을 뿐이다. 이런 생활 습관을 과감히 바꾸는 것이 회복으로 가는 올바른 길이라 생각한다.
읽어 주셔서 감사 합니다. |